크롭 팩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롭 팩터는 35mm 필름 카메라의 센서 크기를 기준으로 다른 이미지 센서의 크기를 비교하는 데 사용되는 비율이다. 35mm 풀프레임 센서의 대각선 길이를 특정 센서의 대각선 길이로 나눈 값으로 정의되며, 렌즈의 환산 초점 거리를 계산하고 이미지 센서의 성능을 추정하는 데 사용된다. 크롭 팩터가 클수록 피사계 심도는 얕아지고, 동일한 화각에서 피사계 심도가 깊어지며, 카메라 흔들림에 의한 블러가 증가하는 등의 부수적인 효과가 있다. 일반적인 크롭 팩터로는 1/2.5" 센서의 6.0, 1" 센서의 2.7, 포서즈 시스템의 2.0, APS-C 센서의 1.5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진술 - 영상
영상은 이미지 제작의 역사, 종류, 기술적 측면, 사회문화적 의미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며, 기록, 종교, 소통 등 다양한 역할을 해왔고, 양식, 기술, 사회문화적 맥락 등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된다. - 사진술 - 초점 심도
초점 심도는 이미지 센서 또는 필름 평면에서 허용 가능한 선명도를 유지하는 이미지 생성 영역의 범위로, 피사계 심도와 구별되며, 조리개 값, 초점 거리, 피사체 거리 등에 영향을 받고, 사진 촬영에서 피사계 심도에 비해 덜 중요하지만 소형 카메라나 영화 촬영에서는 고려해야 할 요소이며, 천문학에서는 파면 오차를 기준으로 다르게 정의된다.
크롭 팩터 | |
---|---|
기본 정보 | |
유형 | 광학 특성 |
관련 | 필름 포맷 이미지 센서 포맷 화각 35 mm 환산 초점 거리 |
설명 | |
정의 | 센서 크기에 따른 35 mm 필름 대비 비율 |
영향 | 초점 거리 화각 피사계 심도 |
표준 | 풀프레임 (1.0) APS-C (약 1.5-1.6) 마이크로 포서즈 (2.0) |
활용 | |
용도 | 렌즈 선택 화각 예측 피사계 심도 계산 |
기타 | |
주의사항 | 렌즈 자체의 광학적 특성은 변화시키지 않음 |
2. 35mm 기준의 '풀프레임' 과 '크롭 팩터'
135 포맷(35mm 필름)과 동일한 면적을 가진 센서를 '풀프레임'이라고 하며, 풀프레임 센서 대각선 길이와 특정 포맷 센서 대각선 길이의 비율을 '크롭 팩터'라고 정의한다.[12] 크롭 팩터는 35mm 환산 초점 거리를 표시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13][14][15]
DSLR 카메라의 경우, 이 크롭 팩터는 보통 1.3에서 2.0 사이이다. 예를 들어, 28mm 렌즈는 풀프레임 카메라에서는 적당한 광각 화각(FOV)을 제공하지만, 1.6 크롭 팩터를 가진 카메라에서는 약 45mm 렌즈(28 x 1.6 = 44.8)와 동일한 화각을 갖게 된다. 반면, 크롭 팩터는 망원 렌즈 사용 시 피사체를 더 쉽게 채울 수 있게 해주기도 한다. 예를 들어, 1.6 크롭 팩터를 가진 카메라에서 300mm 렌즈는 35mm 필름 형식 카메라의 480mm 망원 렌즈와 동일한 화각의 이미지를 제공한다.
2. 1. 크롭 팩터 계산
135 포맷을 기준으로 동일한 면적을 풀프레임이라고 하며, 이 풀프레임 대각선 대비 비율을 크롭 팩터로 정의한다.[12] 크롭 팩터는 35mm 필름 카메라의 필름이나 센서의 대각선 길이를 기준으로 해당 사진기의 촬상면(센서 혹은 필름)의 대각선 길이의 비로 정의된다.: 35mm 풀프레임의 대각선 길이 / 특정포맷 센서의 대각선 길이 = 크롭 팩터
예를 들어 니콘 DX 포맷의 크롭 팩터를 계산하면, 35mm 풀프레임 사진기의 대각선 길이는 43.3mm이고, 니콘 DX 포맷 (APS-C) 센서의 대각선 길이는 28.4mm이므로, 43.3 / 28.4 = 1.52라는 값이 나온다. 따라서 니콘 DX 포맷의 크롭 팩터는 1.5X라고 한다.
Type | 1/6" | 1/4" | 1/3.6" | 1/3.2" | 1/3" | 1/2.7" | 1/2.5" | 1/2" | 1/1.8" | 1/1.7" | 1/1.6" | 2/3" | 1" | Four Thirds 4/3" | 캐논 APS-C | Nikon DX | 캐논 APS-H | 35mm | Leica S2 | Kodak KAF 39000 |
---|---|---|---|---|---|---|---|---|---|---|---|---|---|---|---|---|---|---|---|---|
대각선 (mm) | 3.00 | 4.50 | 5.00 | 5.68 | 6.00 | 6.72 | 7.18 | 8.00 | 8.93 | 9.50 | 10.07 | 11.0 | 16.0 | 21.6 | 26.7 | 28.4 | 34.5 | 43.3 | 54 | 64 |
가로 (mm) | 2.40 | 3.60 | 4.00 | 4.54 | 4.80 | 5.37 | 5.76 | 6.40 | 7.18 | 7.60 | 8.08 | 8.80 | 12.8 | 17.3 | 22.2 | 23.6-.7 | 28.7 | 36 | 45 | 50.7 |
세로 (mm) | 1.80 | 2.70 | 3.00 | 3.42 | 3.60 | 4.04 | 4.29 | 4.80 | 5.32 | 5.70 | 6.01 | 6.60 | 9.6 | 13.0 | 14.8 | 15.5-.8 | 19.1 | 24 | 30 | 39 |
면적 (mm2) | 4.32 | 9.72 | 12.0 | 15.5 | 17.3 | 21.7 | 24.7 | 30.7 | 38.2 | 43.3 | 48.56 | 58.1 | 123 | 225 | 329 | 366-374 | 548 | 864 | 1350 | 1977 |
크롭 팩터 Crop factor | 14.14 | 9.62 | 8.65 | 7.61 | 7.21 | 6.44 | 6.02 | 5.41 | 4.84 | 4.55 | 4.3 | 3.93 | 2.70 | 2.00 | 1.62 | 1.52 | 1.26 | 1.0 | 0.8 | 0.68 |
2. 2. 센서 크기별 크롭 팩터
135 포맷을 기준으로 동일한 면적을 풀프레임이라고 하며, 이 풀프레임 대각선 대비 비율을 크롭 팩터라고 정의한다.[12] 크롭 팩터는 35mm 환산 초점 거리 및 35mm 환산 배율을 계산하는 데 유용하며, 각 센서 크기별 크롭 팩터는 아래 표에 정리되어 있다.크롭 팩터는 35mm 필름 카메라(풀프레임)의 대각선 길이(43.3mm)를 특정 포맷 센서의 대각선 길이로 나눈 값이다. 예를 들어, 니콘 DX 포맷의 경우 43.3mm / 28.4mm = 1.52로, 크롭 팩터는 1.5X가 된다.
형식 | 대각선 (mm) | 가로 (mm) | 세로 (mm) | 면적 (mm2) | 크롭 팩터 |
---|---|---|---|---|---|
1/6" | 3.00 | 2.40 | 1.80 | 4.32 | 14.14 |
1/4" | 4.50 | 3.60 | 2.70 | 9.72 | 9.62 |
1/3.6" | 5.00 | 4.00 | 3.00 | 12.0 | 8.65 |
1/3.2" | 5.68 | 4.54 | 3.42 | 15.5 | 7.61 |
1/3" | 6.00 | 4.80 | 3.60 | 17.3 | 7.21 |
1/2.7" | 6.72 | 5.37 | 4.04 | 21.7 | 6.44 |
1/2.5" | 7.18 | 5.76 | 4.29 | 24.7 | 6.02 |
1/2" | 8.00 | 6.40 | 4.80 | 30.7 | 5.41 |
1/1.8" | 8.93 | 7.18 | 5.32 | 38.2 | 4.84 |
1/1.7" | 9.50 | 7.60 | 5.70 | 43.3 | 4.55 |
1/1.6" | 10.07 | 8.08 | 6.01 | 48.56 | 4.3 |
2/3" | 11.0 | 8.80 | 6.60 | 58.1 | 3.93 |
1" | 16.0 | 12.8 | 9.6 | 123 | 2.70 |
4/3" (포서즈) | 21.6 | 17.3 | 13.0 | 225 | 2.00 |
캐논 APS-C | 26.7 | 22.2 | 14.8 | 329 | 1.62 |
니콘 DX (APS-C) | 28.4 | 23.6-23.7 | 15.5-15.8 | 366-374 | 1.52 |
캐논 APS-H | 34.5 | 28.7 | 19.1 | 548 | 1.26 |
35mm (풀프레임) | 43.3 | 36 | 24 | 864 | 1.0 |
라이카 S2 | 54 | 45 | 30 | 1350 | 0.8 |
코닥 KAF 39000 | 64 | 50.7 | 39 | 1977 | 0.68 |
형식 | 높이 (mm) | 크롭 팩터 |
---|---|---|
1/2.5" (슈퍼줌 및 콤팩트 카메라) | 4.29 | 6.0 |
1/2.3" (콤팩트 및 콤팩트 슈퍼줌, 초기 펜탁스 Q) | 4.55 | 5.6 |
1/1.8" (캐논 파워샷 G1 - G7/S90과 같은 고급 콤팩트) | 5.32 | 4.8 |
1/1.7" (고급 콤팩트, 후기 펜탁스 Q) | 5.70 | 4.5 |
2/3" (후지필름 X10, 후지필름 X20, 소니 F828, 소니 F717) | 6.60 | 3.9 |
1" (니콘 1/CX / 소니 RX100 시리즈 / 소니 RX10 / 캐논 파워샷 G7 X) | 8.80 | 2.7 |
4/3" / 포서즈 (올림푸스 및 파나소닉에서 각각 DSLR 및 미러리스 카메라에 사용) | 13 | 1.84–2[9] |
시그마 포베온 X3 (메릴 카메라 이전) | 13.80 | 1.7 |
캐논 APS-C | 14.80 | 1.6 |
일반 APS-C (시그마 포베온 X3, 후지필름 X 마운트, 니콘 DX, 펜탁스 K, 리코 GXR, & 리코 GR, 삼성 NX, 미놀타/소니 α DT & E-마운트 (NEX)) | 15.60 | 1.5 |
APS-H (캐논, 라이카 M8) | 18.60 | 1.3 |
35mm 풀 프레임 (캐논 EF, 라이카 M9, 니콘 FX, 펜탁스 K-1, 소니 α, FE-마운트, 소니 RX1) | 24.00 | 1.0 |
중형 포맷 (핫셀블라드, 리프, 페이즈 원, 펜탁스 645D, 후지필름 GFX) | 33.00 | 0.79 |
중형 포맷 (핫셀블라드, 리프, 페이즈 원) | 40.40 | 0.64 |
크롭 팩터는 135 포맷을 기준으로 동일한 면적을 풀프레임이라고 하며 이 풀프레임 대각선 대비 비율을 의미한다.[12] 흔히 크롭이라고 표현하는 용어는 사진술에서 크롭 팩터(crop factor)라는 영단어를 사용한다.
3. 크롭 팩터의 중요성
크롭 팩터는 35mm 필름 카메라(풀프레임) 센서의 대각선 길이와 비교하여 다른 판형 카메라 센서의 대각선 길이 비율로, 렌즈의 환산 초점 거리를 계산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13][14][15] 35mm 필름 형식 SLR 렌즈 마운트를 사용하는 DSLR 카메라의 경우, 35mm 필름 형식보다 센서가 작기 때문에 "크롭 팩터"와 "초점 거리 배율"이라는 용어는 사진작가들이 기존 렌즈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만들어졌다.
3. 1. 환산 초점 거리
크롭 팩터는 35mm 필름 카메라(풀프레임) 센서의 대각선 길이와 비교하여 다른 판형 카메라 센서의 대각선 길이 비율을 의미한다.[12] 이 비율은 렌즈의 환산 초점 거리를 계산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13][14][15]
환산 초점 거리 계산35mm 풀프레임 카메라 센서의 대각선 길이를 특정 포맷 센서의 대각선 길이로 나누면 크롭 팩터를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콘 DX 포맷의 크롭 팩터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니콘 DX 포맷의 크롭 팩터는 약 1.5X이다.
크롭 팩터와 화각크롭 팩터는 렌즈의 실제 초점 거리와 다른 판형에서 촬영했을 때의 화각을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크롭 팩터가 1.5인 카메라에 50mm 렌즈를 장착하면 35mm 풀프레임 카메라의 75mm 렌즈와 유사한 화각을 얻을 수 있다.
대부분의 DSLR 카메라는 35mm 필름 프레임보다 작은 APS-C 크기의 이미지 센서를 사용한다. 이 때문에 이미지 센서는 35mm 필름 카메라보다 작은 영역의 이미지를 캡처하여, 마치 사진의 가장자리가 잘려나간 듯한 효과를 낸다.
이러한 크롭 효과로 인해 유효 시야각(FOV)은 센서 크기와 35mm 필름 형식 크기 간의 비율에 비례하는 인수로 감소한다. 즉, 크롭 팩터가 클수록 화각은 좁아진다.
크롭 팩터의 장단점
센서 크기별 크롭 팩터
Type | 대각선 (mm) | 크롭 팩터 |
---|---|---|
1/6" | 3.00 | 14.14 |
1/4" | 4.50 | 9.62 |
1/3.6" | 5.00 | 8.65 |
1/3.2" | 5.68 | 7.61 |
1/3" | 6.00 | 7.21 |
1/2.7" | 6.72 | 6.44 |
1/2.5" | 7.18 | 6.02 |
1/2" | 8.00 | 5.41 |
1/1.8" | 8.93 | 4.84 |
1/1.7" | 9.50 | 4.55 |
1/1.6" | 10.07 | 4.3 |
2/3" | 11.0 | 3.93 |
1" | 16.0 | 2.70 |
Four Thirds 4/3" | 21.6 | 2.00 |
Canon APS-C | 26.7 | 1.62 |
Nikon DX | 28.4 | 1.52 |
Canon APS-H | 34.5 | 1.26 |
35mm | 43.3 | 1.0 |
Leica S2 | 54 | 0.8 |
Kodak KAF 39000 | 64 | 0.68 |
3. 2. 화각 변화
크롭 팩터는 렌즈의 화각에 영향을 준다. 35mm 필름 형식(풀프레임)보다 작은 이미지 센서를 가진 카메라(DSLR)에서는 이미지 센서가 이미지 데이터를 캡처하는 영역이 좁아져서 마치 사진의 가장자리가 잘려나간 듯한 효과가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유효 화각(FOV)이 줄어든다.[12]대부분의 DSLR 카메라는 APS-C 크기의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는데, 이 센서는 35mm 필름 프레임보다 작다. 크롭 팩터는 1.3에서 2.0 사이의 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크롭 팩터가 1.6인 카메라에서 28mm 렌즈를 사용하면, 풀프레임 카메라에서 약 45mm 렌즈(28 × 1.6 = 44.8)를 사용한 것과 비슷한 화각을 얻게 된다.[13][14][15]
이러한 화각의 축소는 광각 렌즈를 사용할 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초광각 렌즈가 일반 광각 렌즈처럼, 광각 렌즈는 표준 렌즈처럼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망원 렌즈의 경우, 크롭 팩터는 피사체를 더 크게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게 해주므로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롭 팩터가 1.6인 카메라에 300mm 렌즈를 장착하면, 풀프레임 카메라에서 480mm 렌즈를 사용한 것과 동일한 화각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4. 디지털 렌즈
대부분의 DSLR 카메라 및 미러리스 제조사들은 크롭 센서에 최적화된 렌즈(크롭 렌즈)를 출시하여 광각 렌즈 사용자들의 불만을 해소하고 있다. 이러한 렌즈들은 더 작은 이미지 서클을 갖도록 설계되어, 렌즈를 더 작고 가볍게 만들 수 있다.
4. 1. 크롭 렌즈의 특징
대부분의 SLR 카메라 및 렌즈 제조업체는 DSLR 형식에 최적화된 더 짧은 초점 거리의 렌즈를 설계하여 광각 렌즈 사용자의 우려 사항을 해결했다.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렌즈는 24×36 mm 프레임을 커버하지 않지만, 대부분의 DSLR의 더 작은 16×24 mm (또는 그 이하) 센서를 커버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큰 이미지 서클을 투사하도록 설계되었다. 더 작은 이미지 서클을 투사하기 때문에, 이러한 렌즈는 더 적은 유리를 사용하도록 최적화할 수 있으며 풀프레임 카메라용으로 설계된 렌즈보다 물리적으로 작고 가벼운 경우가 많다.더 작은 디지털 형식을 위해 설계된 렌즈는 다음과 같다.
- 캐논 EF-S 및 EF-M 렌즈
- 니콘 DX 렌즈
- 올림푸스 포서즈 시스템 렌즈
- 시그마 DC 렌즈
- 탐론 Di-II 렌즈
- 펜탁스 DA 렌즈
- 후지필름 XF 및 XC 렌즈
- 소니 알파(SAL) DT & E 렌즈
이러한 렌즈는 일반적으로 풀프레임 35 mm 형식을 위해 설계된 렌즈보다 작은 이미지 서클을 투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메라의 크롭 팩터 또는 FLM은 투사된 이미지가 심하게 "크롭"되지 않더라도 다른 렌즈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렌즈에서 화각과 초점 거리의 관계에 동일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의미에서 "크롭 팩터"라는 용어는 때때로 혼란스러운 의미를 가지며, 이러한 이유로 "초점 거리 배율"이라는 대체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5. '똑딱이 카메라'의 크롭 팩터
컴팩트 카메라(일명 '똑딱이 카메라')도 35mm 필름 카메라에 비해 작은 센서를 사용하므로 크롭 팩터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9mm 센서 대각선을 가진 "1/1.8인치" 포맷은 35mm 필름의 43.3mm 대각선에 비해 거의 5의 크롭 팩터를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카메라들은 35mm 똑딱이 필름 카메라에서 일반적인 초점 거리의 약 1/5 정도의 렌즈를 장착하고 있다.[3]
제조사들은 때때로 실제 초점 거리 대신 35mm 환산 초점 거리를 표기하여 사용자 편의를 돕는다. 예를 들어, 캐논 파워샷 SD600 렌즈는 5.8–17.4mm의 실제 초점 거리 범위로 표시되어 있지만, "1/2.5인치" 포맷으로 약 6의 크롭 팩터를 가지므로, 리뷰에서는 35–105mm 렌즈로 묘사되기도 한다.[4] 리뷰어들 또한 다양한 카메라의 화각을 일반적인 용어로 특징짓기 위해 35mm 환산 초점 거리를 사용하기도 한다.[3]
6. 배율 팩터
크롭 팩터는 '배율 팩터',[5] '초점 거리 팩터' 또는 '초점 거리 배율'이라고도 불린다.[6] 이는 크롭 팩터 카메라에서 동일한 초점 거리의 렌즈를 사용할 때 풀프레임 카메라보다 피사체가 더 크게 확대되어 보이는 효과를 반영한다. 예를 들어, 조류 사진작가들이 최대 "도달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크롭 팩터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작은 센서를 가진 카메라는 텔레컨버터를 사용하는 것보다 선호될 수 있는데, 텔레컨버터는 렌즈의 조리개 번호에 영향을 미쳐 자동 초점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6]
주어진 렌즈는 어떤 카메라에 장착되든 동일한 이미지를 투사한다. 추가적인 "배율"은 이미지가 표준 출력 크기(인쇄 또는 화면)에 맞게 출력물을 생성하기 위해 더 많이 확대될 때 발생한다. 즉, 피사체에서 초점면까지의 배율은 변경되지 않지만, 피사체에서 최종 출력물까지의 시스템 배율은 증가한다.
7. 부수적인 효과
35mm 판형용으로 설계된 렌즈를 더 작은 판형의 DSLR에 사용하면 시야가 감소하는 것 외에도 피사계 심도, 원근법, 카메라 움직임에 따른 블러 등 여러 사진 매개변수에 영향을 미친다.
많은 사진 렌즈는 프레임 가장자리보다 중앙에서 더 선명한 이미지를 만든다. 따라서 더 작은 판형 센서를 가진 카메라에서 35mm 필름용 렌즈를 사용하면 이미지 중앙 부분만 사용하게 되어, 가장자리가 흐려지거나 비네팅 현상이 발생하는 렌즈의 경우 더 나은 결과[7]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작은 센서에서 이미지를 확대해야 하기 때문에, 작은 판형에 사용되는 렌즈는 센서에 더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제공해야 하며, 센서는 렌즈에서 들어오는 빛의 양 감소를 보상하기 위해 더 높은 신호 대 잡음비(SNR)를 가져야 한다.
7. 1. 피사계 심도
동일한 조리개 값, 동일한 위치에서 촬영 시 크롭 팩터가 클수록 피사계 심도가 얕아진다. 반면에 비 크롭 카메라와 동일한 시야(35mm 환산 초점 거리 일치)를 가진 다른 렌즈를 동일한 조리개 값으로 사용하면 더 작은 카메라의 피사계 심도가 더 커진다.[2]7. 2. 원근법
원근법은 카메라 위치에만 의존하는 속성이다. 그러나 더 작은 판형 카메라를 사용하면 사진작가가 피사체에서 더 멀리 떨어져야 하므로 원근법이 영향을 받는다.[7]7. 3. 카메라 흔들림
더 작은 판형 카메라는 추가적인 확대가 필요하여 초점 이탈로 인한 블러와 카메라 움직임(흔들림)에 의한 블러를 증가시킨다. 그 결과, 선명한 이미지를 얻기 위해 주어진 셔터 속도에서 안정적으로 핸드헬드 촬영을 할 수 있는 초점 거리는 크롭 팩터만큼 감소한다. 핸드헬드 촬영 시 셔터 속도는 초점 거리(밀리미터)와 최소한 같아야 한다는 오래된 경험 법칙은 실제 초점 거리에 FLM(Focal Length Multiplier, 초점 거리 배율)을 먼저 곱한 다음 규칙을 적용하면 동일하게 적용된다.[7]8. 일반적인 크롭 팩터
일반적인 크롭 팩터는 다음 표와 같다.
형식 | 높이 (mm) | 크롭 팩터[8] |
---|---|---|
1/2.5" (많은 슈퍼줌 및 콤팩트 카메라) | 4.29 | 6.0 |
1/2.3" (콤팩트 및 콤팩트 슈퍼줌, 초기 펜탁스 Q) | 4.55 | 5.6 |
1/1.8" (캐논 파워샷 G1 - G7/S90과 같은 고급 콤팩트) | 5.32 | 4.8 |
1/1.7" (고급 콤팩트, 후기 펜탁스 Q) | 5.70 | 4.5 |
2/3" (후지필름 X10, 후지필름 X20, 소니 F828, 소니 F717) | 6.60 | 3.9 |
1" (니콘 1/CX / 소니 RX100 시리즈 / 소니 RX10 / 캐논 파워샷 G7 X) | 8.80 | 2.7 |
4/3" / 포서즈 (올림푸스 및 파나소닉에서 각각 DSLR 및 미러리스 카메라에 사용) | 13 | 1.84–2[9] |
시그마 포베온 X3 (메릴 카메라 이전) | 13.80 | 1.7 |
캐논 APS-C | 14.80 | 1.6 |
일반 APS-C (시그마 포베온 X3, 후지필름 X 마운트, 니콘 DX, 펜탁스 K, 리코 GXR, 리코 GR, 삼성 NX, 미놀타/소니 α DT & E-마운트 (NEX)) | 15.60 | 1.5 |
APS-H (캐논, 라이카 M8) | 18.60 | 1.3 |
35mm 풀 프레임 (캐논 EF, 라이카 M9, 니콘 FX, 펜탁스 K-1, 소니 α, FE-마운트, 소니 RX1) | 24.00 | 1.0 |
중형 포맷 (핫셀블라드, 리프, 페이즈 원, 펜탁스 645D, 후지필름 GFX) | 33.00 | 0.79 |
중형 포맷 (핫셀블라드, 리프, 페이즈 원) | 40.40 | 0.64 |
참조
[1]
웹사이트
Affects of crop factor on focal length, aperture, and ISO
http://petapixel.com[...]
[2]
웹사이트
Digital Camera Sensor Performance Summary
http://www.clarkvisi[...]
2007-12-06
[3]
웹사이트
Common confusions
https://petapixel.co[...]
[4]
웹사이트
Canon SD600 specs
http://www.digitalpo[...]
[5]
서적
Digital Travel Photography: Shooting People and Places Like the Pros
https://books.google[...]
Sterling Publishing Co.
[6]
서적
Advanced Digital Photography
https://books.google[...]
Amphoto Books
[7]
웹사이트
Full frame vs crop camera comparisons
http://www.ophryspho[...]
Ophrys Photography
[8]
문서
[9]
문서
[1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cameraape[...]
2011-06-16
[1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cameraape[...]
2011-06-16
[1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cameraape[...]
2011-06-16
[13]
웹인용
Crop Factor Explained
http://digital-photo[...]
2009-12-24
[14]
웹인용
DPanswers: Crop factor
http://dpanswers.com[...]
2009-12-24
[15]
뉴스
Sensor size is the greatest digital SLR inequality - Cleveland photography
http://www.examiner.[...]
Examiner.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